이토양어장 HP

성장과 사육 밀도

열혈난주 2008. 10. 31. 16:02

성장과 사육 밀도

1.초심자와 성장의 기준···①

초심자는 물고기를 죽게하지 않는 것이 첫걸음.

초심자는 물고기를 크게 성장시키려고 분발하지만, 알맞은 정도의 가감을 모르기 때문에
죽게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으로는 자신의 사육 기술을 향상시킬 수가 없습니다.

초심자는 우선 물고기를 죽게하지 않는 것을 제일로서, 그 위에 천천히 확실한 성장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고기를 죽게하지 않는 사육을 하는 가운데, 먹이나 물대체나 사육 밀도에 대하여 시행 착오를 겪는 것이
능숙해지는데 있어서의 하나의 포인트가 되는 것입니다.



2.초심자와 성장의 기준···②

초심자 대상의 성장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초심자는 물고기를 죽게하지 않는 사육을 실시하는 일로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만,
먹이가 너무 부족한 경우는 성장을 바라볼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아래에 초심자 대상의 성장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4월 상순에 교배시켜서, 물고기의 컨디션을 최우선 시킨 다음의 기준이 됩니다.

이 경우, 가을의 단계에서 10 cm정도의 크기가 됩니다만, 품평회에서 소지부가 있는 경우는
당당히 싸우는 일을 할 수 있는 크기가 되고 있습니다.

● 초심자의 기준.

 1주 →  10mm
 2주 →  13mm
 3주 →  16mm
1개월 →  20mm
2개월 →  42mm (지난 달보다 22 mm 성장)
3개월 →  55mm (지난 달보다 13 mm 성장)
4개월 →  70mm (지난 달보다 15 mm 성장)
5개월 →  85mm (지난 달보다 15 mm 성장)
6개월 →  97mm (지난 달보다 12 mm 성장)
7개월 →  105mm (지난 달보다 8 mm 성장)



3.초심자와 성장의 기준···③

시행 착오를 매년 반복하는 것이 중요.

상기에 초심자 대상의 성장의 기준을 제시했습니다만, 이 기준보다 늦었을 경우는,
하루의 먹이의 양을 늘리는지, 물대체의 페이스를 앞당기는지, 사육 밀도를 느슨하게하는 등의 대처가 필요합니다.

단지, 지연을 되찾으려고 분발하면 매우 높은 확률로 실패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이 기준을 달성했을 경우, 시즌의 사육을 되돌아 보고,
자신의 사육 방침과 사육 환경을 생각하면서 개선점을 찾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매년 반복하는 일로, 서서히 사육 방법에 폭이 생겨 결과적으로 능숙해진다고 생각합니다.



4,사육 밀도와 물고기에의 영향

당세어의 사육 밀도에는 반드시 주의를 기울인다.

사육 밀도는 물고기의 모습에 비교적 크게 영향을 줍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의 표에 정리했습니다.

사육 밀도를 생각할 때 가장 조심하는 것은, 과밀사육에 의한 병의 발생입니다.
특히 당세어는 과밀사육으로 아가미병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회용의 물고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물고기를 세로 방향으로 길게 기르면서 미처를 느슨하게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는, 적절한 밀도보다 약간 저밀도로 사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 밀 도

 

수질 악화

성장
식욕
운동
미견

 

·· 매우 빠르다.
·· 높은 확률로 아가미병이 발생해 버린다.
·· 양방향(종횡)의 성장이 억제되어 버린다.
·· 수질의 악화와 함께 급격하게 떨어진다.
·· 별로 헤엄치지 않게 된다.
·· 헤엄치지 않기 때문에 미견·미처 모두 딱딱해진다

적절한 밀도(종용)

 

수질 악화

성장
식욕
운동
미견

 

·· 좋은 청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질은 유지된다.
·· 컨디션 유지가 뛰어나기 때문에, 병에 걸리기 어렵다.
·· 양방향(종횡)의 성장이 가속된다.
·· 경쟁심이 강해지기 때문에 먹이 섭취는 좋아진다.
·· 매우 잘 헤엄친다.
·· 매우 잘 헤엄치기 때문에 미견·미처 모두 부드러워진다.

약간 저밀도(회용)

 

수질 악화

성장
식욕
운동
미견

 

·· 수질 악화의 판단이나 수질 유지는 어렵다.
·· 수질이 좋다면 비교적 병에 걸리기 어렵다.
·· 세로 방향에의 성장이 가장 좋다. 횡방향은 통상 성장.
·· 경쟁심이 떨어지지 않는 빠듯한 밀도. 먹이 섭취는 좋다.
·· 비교적 좋게 헤엄친다.
·· 적당한 헤엄때문에 미처만을 부드럽게 할 수가 있다.

저 밀 도

 

수질 악화

성장
먹이의 먹어
운동
미견

 

·· 보기에 깨끗한 물이라도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많다.
·· 수질 악화때문에 병이 들기 쉽다.
·· 가로방향에의 성장이 극단적으로 억제. 세로 방향도 약간 억제.
·· 경쟁심이 약해지기 때문에 먹이 섭취가 나빠진다.
·· 별로 헤엄치지 않게 된다.
·· 헤엄치지 않기 때문에 미견·미처 모두 딱딱해진다.




5, 적절한 사육 밀도에 대해

당세어는 선별에 의해서 사육 밀도를 조절한다.

물고기를 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 높은 사육 밀도가 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당세어는 대담한 선별을 실시하는 일로 높은 사육 밀도가 되는 것을 막아,
가능한 한 빠른 단계에서 회용과 종용을 판별해 적합한 사육 밀도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밀도(회용)
(1㎡당)
체장 약 15mm =  100마리까지
체장 약 20mm =  60 마리까지
체장 약 30mm =  50 마리까지
체장 약 40mm =  40 마리까지
체장 약 60mm =  20 마리까지
체장 약 100 mm =  5마리까지


'이토양어장 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별을 하기에 앞서  (0) 2008.11.01
각 부위의 만드는 방법  (0) 2008.10.31
치어 육성의 기본  (0) 2008.10.31
인공 수정의 방법  (0) 2008.10.31
교배에 대해  (0) 2008.10.31